![](http://pds11.egloos.com/pds/200808/14/36/d0046636_48a3849099e8d.jpg)
디지털 방송 단말기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휴맥스.
1996년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유럽 표준규격(DVB)
디지털 위성방송용 셋탑박스를 개발했던 휴맥스는
다양한 수신제한장치(CAS : Conditional Access System)를
내장한 고품질의 셋탑박스(디지털방송수신기)를 앞세워
필립스, 소니, 톰슨 등 거대 CE업체와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
디지털 방송산업을 선도해 왔다.
HD, PVR, HD PVR, IPTV, MHP, Bluetooth STB 제품 등
전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셋탑박스 관련 제품들은 바로 휴맥스 기술이다.
![](http://pds11.egloos.com/pds/200808/14/36/d0046636_48a38635b61f4.jpg)
동종업계 최초 코스닥 등록(시각디자인)
세계각지의 Gift fair에 참여하며 세계 선물용품 시장을 선도.
미국 선물용품 시장 브랜드 인지도 3위에 랭크.
![](http://pds11.egloos.com/pds/200808/14/36/d0046636_48a3877cac9e8.jpg)
단순히 방열성능을 높이거나 싼 쿨러라는 인식을 주기보다는 가격은 비싸지만 방열성능 및 소음을 줄여 틈새시장을 공략하는데 성공한다. 잘만이라는 이름은 '잘만든' 에서 나왔다고 한다.
![](http://pds10.egloos.com/pds/200808/14/36/d0046636_48a3889320924.jpg)
북미시장 15년 연속 1위, 세계시장 7년 연속 1위에 빛나는 HJC 헬멧.
헬멧의 기본인 안정성 뿐만 아니라, 헬멧 안에 열선을 부착하여
헬멧 유리에 입김이 서리지 않도록 한 스노모빌.
헬멧에 마이크와 스피커를 부착한 '채터 박스'
흡연자를 위해 턱 보호대를 쉽게 움직일 수 있는 '사이맥스' 등
다양한 상품으로 지속적인 혁신을 이루고 있다.
![](http://pds10.egloos.com/pds/200808/14/36/d0046636_48a38c43c8e5b.jpg)
낫소는 서로 견주어 "더 좋다"라는 말로 형용사"낫다"에서 파생된 말이다.
영문으로 "Nassau"는 유럽의 영국귀족 이름이며 네덜란드 황족 칭호.
또한 "Nassau"는 미국 바하마 군도의 수도 이름으로 스포츠 휴양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개인적으로 브랜드 네이밍을 잘 지었다고 생각하는 몇 안되는 브랜드.
개인적으로 어릴 때 낫소가 일본껀줄 알고 나름 스타 축구공을 이용해주었다는...
![](http://pds10.egloos.com/pds/200808/14/36/d0046636_48a38d868a0b3.jpg)
![](http://pds11.egloos.com/pds/200808/14/36/d0046636_48a38e894677c.jpg)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품은 휴대폰도, 자동차도 아닌 손톱깎이다.
92개국에 매년 1억개 이상을 판매하여 현재 누적 판매량이 26억개에 달한다.
이쯤 되면 지구인 중 두세사람 가운데 한명은 쓰리세븐 손톱깎이를 쓴다는 것.
그리고 세계 시장 점유율 40%대를 자랑하는 세계 3대 Personal Care 회사이다.
![](http://pds11.egloos.com/pds/200808/14/36/d0046636_48a39035011b6.jpg)
코메론은 아이디어에서 승리한 기업이 아닌가 싶다.
세계최초로 줄자 끝 부분에 초강력 자석을 달아서 혼자 측정 할 수 있게 만든 줄자나,
소의 가슴둘레를 재면 몸무게를 계산할 수 있는 줄자 등 국내외 특허건수가 300건에 달하는 기업이다.
측량보조하러 나갈 때 썼는데 나도 그렇고 다들 일본껀 줄 알았다;;
![](http://pds11.egloos.com/pds/200808/14/36/d0046636_48a3915c98a11.jpg)
우리나라의 진정한 명품간지는 디디바오가 아니겠는가!
한글로도 디디바오, 영어로도 디디바오로 읽히는 저 휼륭한 CI를 보라.
디디바오에 관한 이야기가 너무 많아 따로 포스팅이 가능 할 정도이긴 하나 요악한다면,
중국에서 아디다스를 모방한 디디바오 생산.
↓
한국에 전파
↓
한국 네티즌의 장난으로 '구전문학'화 되면서 명품으로 둔갑
↓
새 로고까지 생겨남
↓
사장님과 톰크루즈와의 친분으로 디디바오 관련 화보 이미지 유포
↓
디디바오가 한국업체였다는 충격적인 기사 발표.
![](http://pds10.egloos.com/pds/200808/14/36/d0046636_48a392829c807.jpg)
![](http://pds11.egloos.com/pds/200808/14/36/d0046636_48a3928f4dc92.jpg)
![](http://pds10.egloos.com/pds/200808/14/36/d0046636_48a39299bce4c.jpg)